[사설] ‘이준석 정치’를 이런 식으로 매듭짓고 기억되기 바라나


국민의힘 상임전국위원회가 5일 당을 ‘비상 상황’으로 규정하고 비상대책위원회 전환을 추인했다.
비대위가 들어서면 이준석 대표의 복귀는 사실상 불가능해진다. 이 대표는 이날도 윤석열 대통령과 이른바 ‘윤핵관’을 비난했다.
그는 윤 대통령의 인식이 “한심하다”고 했다. 지금 국민의힘 상황에 대해선 “바보들의 합창”이라고 했다.
[코멘트: 한심하다고? 바보들의 합창이라고? 이렇게 비난하는 것은 제 얼굴에 침뱉기이며 스스로를 모욕하는 행동이라는 것을 모르는 아주 철부지 같은 이준석. 이름만들어도 염증이 난다. 염증은 제거해야 시원해 진다.]
홍준표 대구시장은 이날 “여태 이 대표 입장에서 중재해보려고 노력했으나 이제 그만두기로 했다”며 “그렇게 말했건만 참지 못하고 사사건건 극언으로 대응한 건 크나큰 잘못”이라고 했다.
이 대표 측근으로 꼽혀온 정미경 최고위원도 “이 대표는 이쯤에서 당대표로서 손을 놓을 때가 되지 않았나”라고 했다.
요즘 이 대표 언행을 보면 ‘내부 총질’이란 지적이 옳다는 걸 입증하려는 사람처럼 보인다.
얼마 전엔 친윤계를 향해 “양두구육(羊頭狗肉)”이라고 했다. 지난 대선 때도 그는 윤 대통령과 크고 작은 알력을 빚으며 두 차례 당무를 거부했다. 선거운동 중에 있을 수 없는 일이었다. 야권 통합 과정에서 안철수 후보에게 모욕에 가까운 언사를 해 일이 틀어진 적도 있다.
국정을 뒷받침하기보다 발목 잡는 일이 더 많았다는 친윤계 항변도 일리가 있다.
이 대표가 작년 6월 처음 당대표가 됐을 때 낡은 정치가 근본적으로 바뀌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한 사람이 많았다.
한때 ‘이준석 현상’이라고 부를 만한 바람이 불었고 이것이 서울 부산시장 선거 승리와 정권 교체에 도움이 된 것이 사실이다.
이 대표에게 기대를 갖고 지켜보던 사람들은 그가 극단적 내분을 상징하는 인물로 변해간 현실에 크게 실망하고 있다. 이 대표도 ‘이준석 정치’가 이런 식으로 매듭지어지고 기억되기를 원하지는 않을 것이다.
https://www.chosun.com/opinion/editorial/2022/08/06/6FYQQSLOB5G5LFY2G3WMIRQWJI/
[사설] ‘이준석 정치’를 이런 식으로 매듭짓고 기억되기 바라나
사설 이준석 정치를 이런 식으로 매듭짓고 기억되기 바라나
www.chosun.com
'펜과포토 > 사설_칼럼은 방향이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조선일보. 문재인 정부 안보주권 포기 밝혀야 ‘사드 운용 제한’ 中 요구 들어주고 국민에 거짓말했나 (0) | 2022.08.12 |
---|---|
노조 불법 시위 첫 해산, 늦었지만 이제라도 법치 확립해야. 민주당은 무책임한 법안 추진을 멈춰야 한다. (0) | 2022.08.07 |
조선일보. 美 펠로시 의장 ‘의전 실종’으로 드러난 우리 정치권의 모습. 공식적으로 김진표 의장과 회담을 위해 방한했기 때문에 국회 책임이 크다고 볼 수밖에 (0) | 2022.08.05 |
조선일보|前 정권때 시작된 대형 비리 의혹 수사를 ‘국기 문란’이라니 (0) | 2022.08.05 |
[칼럼] 나를 화나게 하는 것들이 나를 아름답게 만든다 (0) | 2016.05.25 |